무대에서 뵙지 못해 아쉽습니다
안녕하세요.
2020 가을 서울예술대학교 공연학부 연극제작실습 < 시련 >을 기다리고 응원해주신 모든 여러분께 코로나19 장기화로 무대에서 뵙지 못해 죄송하다는 말씀드립니다.
저희 시련의 모든 제작팀은 지난 한학기 동안 코로나라는 악상황 속에서도, 공연에 대한 열정과 애정을 가지고 안전수칙을 지키며 관객분들을 만날 실연만을 준비하였습니다.
그러나 코로나 변종바이러스까지 등장한 현 상황을 고려하였을 때, 출연진 및 제작팀, 그리고 더 나아가 관객분까지 우리 모두의 안전을 위해 더 이상 2020 시련 공연을 지속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판단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한 학기가 넘는 시간동안 열심히 공연을 준비하며 제작반 학생, 교수님과 소통하고 배울 수 있어 너무나도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공연은 올리지 못했지만, 기획팀은 또 다른 방법으로 2020 시련을 기억할 온라인사이트를 제작했습니다.
그동안 < 시련 >을 기다려주신 관객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무엇보다 불투명한 상황 속에서도 늘 최선을 다해주신 제작반 내 여러분 진심으로 감사하고 죄송합니다.
저희가 함께한 경험이 또다른 시작을 위한 용기가 될 수 있도록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늘 모두 건강하세요.
감사합니다.
-시련팀 일동-
출생 . 사망
1915. 10. 17 ~ 2005. 02. 10
주요작품
시련, 세일즈맨의 죽음 등
학력
미시간대학교 연극과
1692년 메사추세츠 주, 신의 귀의한 공동체 마을 "세일럼"
세일럼 마을 어른들의 경건하고 도덕적인 종교생활에 짓눌려 숨이 막힐 지경인 10대 소녀 몇 명이 숲속에서 벌거벗은 채로 춤을 추면서 악마의 의식을 거행하고 있다.
그 중 한 소녀, 아비게일 윌리엄즈.그녀는 이미 가정을 가지고 있는 농부 존 프락터와 육체관계에 빠져 그의 부인을 죽이려는 충동을 느낀다.
그 일 이후 세일럼 마을에는 갑자기 악마가 만연하게 된다. 사람들에게 춤추는 모습을 들킨 소녀들은 자신들의 끔찍한 행동에 세일럼에 악마가 찾아들었다고 이야기하며 마을을 온통 마법과 악마에 관한 아우성으로 떠들썩하게 만든다.
소녀들의 집단 광란에 의해 세일럼의 사람들은 마녀재판이라는 이름으로 마을 사람들 하나 둘 씩 교수대의 무고한 희생자로 사라진다.
지도교수 황두진
지도교수 권정택
무대에서 배우들의 연기를 영상으로 가깝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20 시련의 메이킹 필름